반응형

 

2025학년도 전국 20개 과학고 경쟁률은 전년도와 동일한 3.49:1로 나타났습니다.
학령인구 감소에도 불구하고 지원자 수는 소폭 증가하면서 실질 경쟁률은 상승한 셈인데요.
본문에서는 학교별 경쟁률 분석, 경쟁률 유지 원인, 그리고 입시 전략까지 상세히 정리했습니다.

1. 2025 전국 과학고 평균 경쟁률

2025학년도 전국 20개 과학고의 평균 경쟁률은 3.49대1로,

이는 2024학년도와 동일한 수치로 나타나 경쟁률이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참고로 경쟁률은 정원 기준이며, 모집 인원은 1,642명, 지원자는 5,738명입니다.

2. 경쟁률 유지 배경과 의미

흥미로운 점은, 2025년 중3 학생 수가 전년도 대비 약 1만 6천 명 줄어들었음에도 경쟁률이 그대로 유지되었다는 점입니다.

이는 실제로는 과학고 지원 열기가 오히려 더 높아졌거나, 극소수 우수 학생들이 과고에 집중된 결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3. 주요 과학고 학교별 경쟁률

학교명 2025 경쟁률 2024 경쟁률
한성과학고 4.71:1 4.66:1
세종과학고 4.01:1 4.03:1
부산과학고 2.66:1 2.30:1
부산일과학고 3.12:1 2.90:1
대구일과학고 2.83:1 2.80:1
인천과학고 3.33:1 3.51:1
인천진산과학고 3.69:1 3.20:1
대전동신과학고 3.36:1 3.58:1
울산과학고 3.43:1 2.93:1
경기북과학고 8.08:1 8.90:1
충북과학고 3.22:1 3.13:1
충남과학고 2.99:1 2.89:1
전북과학고 1.97:1 2.05:1
전남과학고 2.66:1 2.78:1
경북과학고 2.05:1 2.27:1
경산과학고 2.37:1 2.38:1
경남과학고 2.99:1 2.89:1
창원과학고 3.16:1 2.75:1
제주과학고 2.55:1 3.28:1

※ 이상 모든 수치는 이코노미퀸 ‘영재교육’ 기사 자료를 기반으로 정리했습니다.

4. 경쟁률 상승·하락 포인트

- 경기북과학고: 여전히 전 최고 경쟁률(8.08:1), 이전 8.90:1보다 하락하였으나 여전히 압도적으로 높은 인기 유지

- 울산과 과기 남부권 과고: 울산·부산·경남·창원 등 학교들이 모두 경쟁률 상승세를 보임. 지역 선호의 변화로 해석 가능

- 광역시 외 지역 과고들: 전북, 전남, 경북 등은 경쟁률이 다소 하락 또는 정체된 모습.

5. 왜 경쟁률이 유지되었을까?

- 이공계 집중 선호: 대입 전형 변화(내신·자소서 중심)로 과학고 진학시 유리한 측면이 커지며

                             고3 학생들 사이 ‘소신 지원’ 증가 추세

- 학령인구 감소라는 불리 속에서도 가치 있는 입시 선택을 중시하는 양극화 경향

    : 일부 학생들이 과고를 보다 전략적인 선택으로 여긴 결과.

6. 마무리

2025학년도 과학고 경쟁률은 전체 평균 3.49:1로 안정세를 유지했습니다.

특히 학령인구가 줄어들었음에도 불구하고 지원자 수가 유지된 것은 과학고의 전략적 가치가 여전함을 보여줍니다.

지원 예정인 예비 고등학생과 학부모님께서는 학교별 경쟁률 변화와 내신 대비 전략을 꼼꼼히 확인하시고

입시 계획에 반영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