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서울한강버스
한강버스

서울시가 도입한 친환경 수상 대중교통 ‘한강버스’가 2025년 하반기 드디어 정식 운행을 시작합니다.
마곡부터 잠실까지 이어지는 7개 선착장을 연결하며, 출퇴근은 물론 한강의 풍경을 감상하며 이동하는 즐거움까지 제공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한강버스의 개요와 노선, 운행 시간·요금, 연계 교통, 그리고 이용 팁까지 상세히 정리했습니다.

1. 한강버스란?

‘한강버스’는 서울시가 기후 위기 대응과 지속 가능한 도시 교통 실현을 위해 도입한 친환경 수상 대중교통입니다.

하이브리드 또는 전기 추진 선박으로 구성됐고,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기존 대비 약 52%가량 감소되어 친환경성과 편의성을 모두 갖췄습니다.

한강버스

2. 주요 노선 및 선착장

한강버스는 총7개 선착장을 따라 운행됩니다. 마곡, 망원, 여의도, 잠원, 옥수, 뚝섬, 잠실로 이어지는 노선이며, 육상교통 대비 정차역 수가 적어 이동 속도를 보완합니다.

한강버스 노선

3. 운행 시간 및 운행 횟수

• 평일: 06:30~22:30, 하루 약 68회 운행, 출퇴근 시간대 15분 간격 운행

• 주말 및 공휴일: 09:30~22:30, 하루 약 48회 운행

• 급행 노선: 마곡–여의도–잠실 구간을 약 54분만에 주파하며 출근길 이용에 유리

운행시간

4. 요금 및 탑승 방식

한강버스의 기본 요금은 성인 편도 3,000원, 청소년 1,800원, 어린이 1,100원입니다.

기후동행카드 또는 T머니 등 교통카드를 활용하면 환승 할인도 적용 가능하며, 일부 할인 요금제도 제공됩니다.

요금방식

5. 이용 편의 & 편의 시설

한강버스 내부는 모든 승객에게 좌석제 서비스를 제공하며, 개인 테이블, 자전거 거치대(22대), 휠체어 좌석, 파노라마 통창 등 다양한 편의시설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이용편의시설

6. 연계 교통 수단

• 한강버스 선착장에는 공공 자전거 ‘따릉이’가 배치되어 있으며, 한강 자전거도로와 연계해 자전거-버스 통합 이동이 가능합니다

• 마곡 및 망원 선착장 인근에는 지하철역과 연계된 신규 버스 노선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연계 교통 수단

7. 도입 배경과 추진 경과

한강버스는 영국 템스강의 수상 교통을 본보기로 추진된 서울시의 혁신적 교통 프로젝트입니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2023년 이 사업을 직접 추진하며 2024년 진수식을 거쳐 2025년 시범운항 및 정식 운항 준비를 마쳤습니다.

추진경과

8. 시범운행과 정식 운항 일정

2025년 8월 12일부터 잠실과 마곡 선착장에서 시민 대상 시범 무료 셔틀 운행이 진행 중이며,

음악·체험단 중심의 체험 운영이 병행되고 있습니다.

정식운항은 9월부터 평상시 출퇴근 시간 중심으로 시작될 예정입니다.

시범운행

9. 장점과 기대 효과

• 기존 도로·지하철 교통 체증을 줄이며 출퇴근 대체 수단 역할 가능

• 한강의 경치를 즐기며 이동할 수 있는 관광 교통 수단으로도 활용

• 친환경 추진 선박 도입으로 기후 대응도 실현

이러한 점들은 서울 교통의 미래 모델로서 한강버스의 의미를 더욱 크게 합니다.

장점

10. 마무리

‘한강버스’는 편리하고 친환경적인 수상 교통을 통해 서울 시민과 관광객 모두에게 새로운 이동 경험을 제공합니다.

출퇴근 · 자전거 연계 · 한강 여행 등 생활과 레저가 결합된 형태로 활용 가능하네요.

운행 시작 시기를 놓치지 말고, 한강의 풍경을 버스 창 너머로 즐기며 새로운 서울을 경험해 보시기 바랍니다!

한강버

반응형